눈바래다

dd copy 유사하나 블럭사이즈로 컨트롤 있다

dd 읽어들일 사이즈와 출력할 사이즈를 다르게 지정할 있음.

ibs = input

ous = output

 

dd if=/dev/zero of=/swapfile bs=1024 count=1000

1024바이트씩 1000 기록한다

 

dd if=sda-mbr.bin of=/dev/sdX bs=1 count=64 skip=446 seek=446

입력시작에서 0~446 만큼 출력시작에서 0~445 만큼 건너뛰고 

sda-mbr.bin 파일에서 읽어와서 /dev/sdX 장치에 기록한다

MBR 부트로더를 skip 하고 파티션테이블 복구시 사용

 

dd 명령어는 주로 빈파일을 만들거나 loopback 마운트 할때 사용한다.

50MB 파일 만들기 (파일생성)

dd if=/dev/zero of=system.img bs=1MB count=50

 

만들어진 빈파일을 ext4 타입으로 포맷

mke2fs -T ext4 system.img

 

임시로 폴더를 생성하여 system.img 마운트해 보자

mkdir /mtemp

mount -t ext4 -o loop system.img /mtem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