눈바래다

useradd -d /home/logmoni logmoni

useradd -c 설명 -e 2014-12-31 -d /home/kim -u 900 -s /bin/ksh -p dany kim

 -c 설명 : 간단한 설명

 -e 2014-12-31 : 계정 사용 종료일자

 -d /home/kim : 홈디렉토리 위치

 -u 900 : UID 900 으로 지정

 -s /bin/ksh : 사용할 기본쉘을 Korn Shell 지정

 -p dany : 패스워드를 dany 지정

 kim : 생성할 계정명

 

.

uptime : 현재시간, 시스템 부팅후 현재까지 운영시간, 현재 시스템 로그인된 사용자수 /var/run/utmp 참조, 1 5 15분동안의 시스템 평균 부하율

 

[root@testPC2 ~]# uptime

 09:35:45 up 1 min,  1 user,  load average: 0.02, 0.01, 0.00

 

.

vmstat : 시스템의 리소스 상황 (cpu, I/O, 메모리) 모니터링

vmstat 3 5 : 3초간 5 출력하기

 

proc 항목

 r :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

 b : 인터럽트가 불가능한 sleep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의 (I/O 처리를 하는 동안 블럭 처리된 프로세스)

 w : 강제로 스왑아웃된 프로세스

w 필드의 값이 증가한다는 것은 메모리가 부족한 것이며 메모리 물리적으로 증설해야 한다

 

memory 항목

 swpd : 사용하고 있는 swap 메모리

 free : 사용가능한 메모리

 buff : 버퍼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

 cache : 캐시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

swpd 값이 높다고 해도 free 값이 여유가 있다면 메모리가 부족한 것이 아니다

 

swap 항목

 si : swap in

 so : swap out

스왑아웃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메모리가 부족한 것이다.

so 필드는 0 가까울 수록 좋다

 

io 항목

 bi : 초당 블럭 디바이스로 보내는 블럭수

 bo : 초당 블럭 디바이스로 부터 받은 블럭수

 

system 항목

 in : 초당 인터럽트 되는

 cs : 초당 context switch 되는

 

cpu 항목

 us : 사용자의 cpu 사용 시간 비율

 sy : 시스템의 cpu 사용 시간 비율

 id : idle

id 값이 0 이면 CPU 100% 상태이다. 상태가 계속된다면 cpu 과부하 상태로 top ps sar 등으로 프로세스 찾아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

 

.

ps :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낸다

PID : 프로세스 id

TTY :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포트

TIME : 프로세스에서 사용한 CPU 시간

CMD : 명령어

 

ps -aux

-a : 모든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출력

-u : 자세한 정보를 출력

-x : 제어터미널이 없는 프로세스도 출력

 

USER : 프로세스 사용자

%CPU : CPU 사용 비율

%MEM : 메모리 사용비율

VSZ : 가상메모리 사용량

RSS : 실제메모리 사용량

STAT : 현재 프로세스 상태

 R : 실행중 혹인 실행할수 있는 상태

 S : 수면상태

 I : 휴식상태

 T : 정지상태

 Z : 좀비상태

 W : 스왑 아웃된 상태

 P : 페이지 대기

 D : 디스크 대기

 N : nice 실행 우선순위가 낮아진 상태

 

START : 프로세스가 시작된 시각 혹은 날짜

S : 프로세스 상태 (STAT 동일)

PPID : 부모 프로세스

 

ps -e : 모든 프로세스 보여주기

ps -ef : 모든 프로세스 자세히 보여주기

ps -l : 프로세스 상세내역 보여주기

ps -efc : 모든 프로세스 명령이름 까지 보여주기

 

.

행의 첫번째 단어(필드) 알파벳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(0 → 10)

 

sort -r testfile

행의 첫번째 단어 내림차순 (역순) 으로 정렬한다 (10 → 0)

 

sort -k 2 textfile

행의 두번째 단어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

 

sort -r -k 2 testfile

행의 두번째 단어 내림차순 (역순) 정렬한다.

 

sort -u testfile

중복된 행을 하나로 취급하여 유일하게 정렬한다.

 

sort -u -r testfile

중복된 행을 하나로 취급하여 유일하게 역순 정렬한다


끝.